삶의 의미를 잃고 헤메이는
30대 중반을 넘어서면서
점차 삶의 의미란 무엇인지에 대해 고민하는 시간이 늘어났다.
나름 경제적으로나 커리어적으로 부족함이 없다고 생각하지만
잦은 불안감에 시달리고 있고
내가 왜 스트레스를 받으며 앞으로 나아가야 하는지
삶의 목적과 의미를 알고 싶어질때가 많다.
초중고 교육과정을 지나
대학교 그리고 대학원
사회에 진출하여 경제생활을 하는데까지
물 흘러가듯이 앞에 놓인 퀘스트를 수행하고
그에 따른 보상을 받아왔다
이런 삶을 별다른 생각없이 살다보니
나의 목표가 돈을 벌기만 하는것인가? 하는 의문이 점차 들기 시작했다.
결국에는 삶의 의미, 목표가 없어진 기분이 들었고
독서를 통해 생각의 깊이를 다지고
나아가서 내 삶의 방향을 명확히 하는데 도움을 받아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
하버드 인생학 특강 - 클레이튼 크리스텐슨
영제: How will you measure your life? - Clayton M. Christensen
삶의 의미와 같은 주제의 고민을 하다보니
유튜브에서 비슷한 주제의 영상을 추천해주었고
'하버드 인생학 특강'이라는 책을 추천하는 영상을 보게 되었다.
한국 제목은 '하버드 인생학 특강'이지만 영제'How will you measure your life?'에서
이 책의 전체적인 방향을 알 수 있다.
이 책의 저자는 일반적인 우리의 삶과는 다르다고 볼 수도 있겠다.
세계 최고의 대학교수직을 역임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삶의 의미를 고민하고 어떻게 살아야 의미있는 삶인지 고민하는 것은
우리와 아니 어쩌면 나와 같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저자는 동창회에서 성공했던 친구들의 삶이 시간이 지날 수록
어떻게 변화해 가는지를 관찰했고
우리가 어떤 삶을 살아가야 할지를 이야기 해준다.
나의 생각
책을 읽으면서
나의 좁은 시각으로 살아왔던 성공의 기준을 다시한번 생각해보게 되었다.
특히 경제적인 부분에서 월급을 얼마라도 더 받기위해 이직을 거듭하고
스트레스를 감내하며 커리어를 위해 노력했던 과거가 떠올랐다.
위생조건(Hygiene factor)
이 책에서는 경제적인 부분은 위생조건(Hygiene factor)라고 비유했다.
왜 위생(Hygiene)에 비유를 했는지에 대한 나의 생각은
위생관념은 사람마다 기준이 다를 수 있지만
각자의 위생기준을 넘어서는 깨끗함이 유지된다면
우리는 위생이 좋아진다고 크게 만족하지 않으며,
반대로 우리의 위생기준에 못미치는 상황에서는
매우 불쾌함과 불편함을 느끼게 되어있다.
이와 같이 경제적인 보상(급여, 소득)은 위생조건으로
어느 수준을 넘어서면 만족감이 보상과 비례하지 않고
어느정도 수준에서 포화(saturation)하게 되어있다.
뭐 저 수치는 개개인의 편차가 있지만
나도 동의하는 바이다.
이 책에서는 결국 이런 경제적 보상인 위생조건에 목을메는 삶이
우리의 삶의 만족도를 높여주지 못한다고 한다.
우리가 집중해야 하는 것
우리의 삶은 한정적이다.
시간은 100년 내외로 한적적이고
우리의 에너지도 한정적이다.
커리어 향상을 위해 목메어 모든 에너지를 쏟을 수 없고
가정만을 위해 에너지를 쏟아 부을 수 없다.
하지만 그 시기에만 할 수있는 것들이 있다.
특히 아이를 키운다면
아이가 커가는 모습은 그 때만 볼 수 있다.
나는 아직 결혼도 하지 않았지만
이 말은 정말로 깊은 생각을 하게 만들어주었다.
현재 삶에 있어 꼭 놓치지 말아야하는 순간들이 있을 것이다.
이를 놓치고 살지 않기 위해
현재에 집중하고 멋진 삶을 살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관계
관계는 참 어려운 주제다.
문제가 커지기 전에 관계에 관심을 갖고
주변 사람들을 이해하고
내게 중요한 사람에게는 이해하고 헌신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결론
하버드 인생학 특강에 대해 생각나는대로 나의 생각을 정리해 보았다.
후회없는 인생
현재 행복한 인생
앞으로가 기대되는 인생을 살기위해서는
항상 현재를 점검하고 감사하며 미래에 대한 꿈을 가지는 것이 좋을 것이라 생각한다.
앞으로도 독서를 하고 느끼는 감정을 글로써 남겨
여운을 길게 가져갈 수 있도록 노력해보려 한다.
'독서와 나의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30대 남성의 삶 (0) | 2023.07.22 |
---|---|
치열함과 열정이 빠진 시대에서 (2) | 2023.05.08 |
습관 설계가 필요하다 (0) | 2022.07.22 |
독서를 취미로 삼다 (0) | 2022.07.21 |